2주차
1. Peptide Bond
1) Peptide plane
- alpha C, Carbonyl, N-H, alpha C 6개의 원자가 이루는 평면.
- 서로 다른 plane이 평행 여부는 R기의 크기가 결정.
- O-C-N의 공명구조로 증명.
2) Dihedral angle
- 서로다른 Plane의 각을 설명.
- phi : C-C를 기준으로 N-alpha C를 볼때의 각
- psi : N-C를 기준으로 carbonyl C-alpha C를 볼때의 각
3) 구조를 유지하는 힘
- 1차 : Peptide bond - 2차 : Hydrogen bond
- 3차/4차 : 이온, 이황화, 수소, 소수성 상호작용.
2. a-helix
1) 기본 개념
- 자연의 a-helix는 right-handed
- right-handed가 에너지 적으로 더 안정.
- 1바퀴에 3.6 아미노산.
- Pitch : 5.4 A.
- O(i)와 N(i+4) 사이의 상호작용.
- 음의값을 갖는 phi(-60), psi(-50).
2) a-helix의 구조
- Hole 안에 공간 없음.
- N -> C 말단으로 극성 존재
- Side Chain 외부 30도로 뻗음.
- 각 Residue 는 100도 차지.
- a-helix 단면 지름 6 A
- 1 aa = 1.5 A
3) a-helix의 안정성
- R그룹의 극성, 전하
- R 그룹의 크기
- R 그룹간의 상호작용
- Pro : 고리형으로, NH의 수소결합 불가.
- Gly : 크기가 작아서 방해.
- Ala : 작고, 전하가 없는 작용기. 안정성에 큰 도움.
- Tyr/Asn : Bulky. 등장빈도 낮음.
4) Ramachandran plot
- phi와 psi를 측정하여 2차 구조 예측이 가능.
- Pro, Gly 존재시 Kink 발생.
- 전하띈 resideus는 안정화 / 불안정화 시킬 수 있다.
- 외부 용매의 존재로 인해 axis가 굽어져서 구조의 굽힘이 발생 가능.
5) Helical Wheel Diagram
- a-helix 구조 표현.
- 원을 기준으로 100도 간격으로 아미노산 표시.
- Polar, Nonpolar한 영역 구분 가능 / 공간상 거리 비교 불가
6) Helical net diagram
- 공간상에서 거리에 대한 정보 제공
- 두 아미노산의 직선 거리 / 두 아미노산이 이루는 각
7) a-helix의 선호되지 않는 아미노산의 통계적 결과
- 작용기의 크기 : Gly, Val, Ile
- R기의 수소결합 : Ser, Asn, Asp
- 수소결합 불가 : Pro
'2022_2 > 단백질 구조기능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백질 구조기능학 3주차 (0) | 2022.09.26 |
---|---|
단백질 구조기능학 1주차 (0) | 2022.09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