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2022_2/단백질 구조기능학

(3)
단백질 구조기능학 3주차 3주차 다른 형태의 a-helix 1) 3-10 helix - 3 residues per turn, 10 residues loop - 더 불안정하고, rise per turn이 2A으로 더 길다. 2) phi helix - I번째 O와 I+5번째 N사이의 수소 결합. - 4.3 residues per turn. 불안정해서 작용기로 사용. - rise per turn = 1.1 A 2. b-sheet 1) 기본 개념 - 최소 두 개 이상의 poly peptide가 평행, 역평행 구조를 이루는 것 - 마루-마루를 pitch로 정의 한다. 2) Parallel - 7A Pitch - polypeptide에서 수소결합이 모두 일어나지 않는다. - 수소결합이 평행하지 않다. 3) Anti Paralle - Pol..
단백질 구조기능학 2주차 2주차 1. Peptide Bond 1) Peptide plane - alpha C, Carbonyl, N-H, alpha C 6개의 원자가 이루는 평면. - 서로 다른 plane이 평행 여부는 R기의 크기가 결정. - O-C-N의 공명구조로 증명. 2) Dihedral angle - 서로다른 Plane의 각을 설명. - phi : C-C를 기준으로 N-alpha C를 볼때의 각 - psi : N-C를 기준으로 carbonyl C-alpha C를 볼때의 각 3) 구조를 유지하는 힘 - 1차 : Peptide bond - 2차 : Hydrogen bond - 3차/4차 : 이온, 이황화, 수소, 소수성 상호작용. 2. a-helix 1) 기본 개념 - 자연의 a-helix는 right-handed - ri..
단백질 구조기능학 1주차 1주차 1.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1) 개요 2) 구성 유닛 - C, H, O, N, S - 20개의 아미노산 구조. - 한 글자 , 세 글자, 전체 이름의 명명. - Peptide bond의 형성과 합성. 3) 구조와 기능 - 1차~4차 구조. - Molecular interation. 4) 구조와 pH 5) 생물학적 도구,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6) Peptide, Protein의 Polding과 질병 2. 아미노산 1) 구조 - 체내 합성 아미노산 (11) : Gly, Ala, Arg, Asp, Asn, Cys, Gln, Glu, Pro, Ser, Tyr - 체내 비합성 아미노산 (9) : His, Ile, Leu, Lys, Trp, Val, Met, Phe, The - 아미노산의 다양성 ..